본문 바로가기

법천사 품으로 돌아온 지광국사현묘탑이 있는 법천사유적전시관

반응형

 

 

 

 

지광국사현묘탑(智光國師玄妙塔)

1. 개요

지광국사현묘탑(智光國師玄妙塔)은 고려 시대 승려인 지광국사 혜심(慧諶, 11781234)의 사리를 봉안한 승탑으로 알려져 있다. 혜심은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때의 고승으로, 지눌(知訥)의 법통을 이은 선승(禪僧)이다.

이 승탑은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법천사지(法泉寺址)에 위치해 있으며,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석조문화재 중 하나로 손꼽힌다.

2. 문화재 지정

  • 국보 제101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원주의 유일한 국보이다.

3. 구조와 특징

지광국사현묘탑은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승탑으로, 고려 시대 승탑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승탑은 크게 기단(基壇), 탑신(塔身), 옥개석(屋蓋石), 상륜부(相輪部)로 구성되어 있다.

  • 기단부(基壇部)
    •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대석에는 안상(眼象)과 연꽃 무늬가 조각됨.
    • 상대석에는 안상 내부에 화문(花紋)이 새겨져 있음.
  • 탑신부(塔身部)
    • 팔각형 구조이며, 각 면에 문비(門扉)와 창살 모양이 조각되어 있음.
    • 특히 문비에는 정교한 문고리 장식이 새겨져 있어 실제 목조 건축물을 연상시킴.
  • 옥개석(屋蓋石, 지붕돌)
    • 팔각 형태로 구성되었으며, 밑면에는 받침이 4단으로 새겨져 있음.
    • 위쪽은 부드럽게 경사가 지며, 모서리마다 귀꽃(귀퉁이 장식)이 있음.
  • 상륜부(相輪部, 꼭대기 장식)
    • 노반(露盤), 복발(覆鉢), 보주(寶珠) 등으로 구성됨.
    • 이 부분이 상당히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어 고려 시대 석조기술의 높은 수준을 보여줌.

4. 역사적 의의

  • 고려 시대 선종(禪宗) 승탑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음.
  • 지광국사 혜심은 지눌의 제자로, 유불(儒佛) 융합 사상을 강조하며 고려 불교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임.
  • 전체적인 균형미와 조각의 정교함에서 고려 시대 석탑 양식의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음.
반응형

 

법천사 당간지주
법천사 유적 터

 

법천사지(法泉寺址)

1. 개요

법천사(法泉寺)는 고려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현재는 폐사지로 남아 있다.
현재 법천사지에는 지광국사현묘탑과 탑비가 남아 있으며,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법천리에 위치한다.

2. 법천사의 역사

  • 법천사는 고려 시대의 중요한 사찰 중 하나로, 고려 현종(顯宗, 재위 1009~1031) 때 크게 중창(重創)된 것으로 추정됨.
  •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시기에 지광국사 혜심이 머물며 선풍(禪風)을 크게 떨쳤던 사찰로 유명하다.
  • 조선 시대 이후 점차 쇠퇴하면서 폐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석조 유물만 남아 있음.

3. 주요 유적

법천사지에는 현재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1) 지광국사현묘탑 (국보 제101호)

  • 앞서 설명한 승탑으로, 법천사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이다.

(2) 지광국사현묘탑비 (보물 제59호)

  • 지광국사의 행적과 업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승탑 옆에 위치함.
  • 고려시대 비석 중에서도 조각과 서체가 정교하여 가치가 높음.

(3) 석등과 석탑 조각들

  • 현재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일부 석등과 석탑의 잔해가 남아 있음.
  • 이를 통해 고려 시대 법천사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음.

4. 법천사지의 가치

  • 고려 시대 선종 불교의 중심지였던 사찰의 흔적으로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가짐.
  • 현재 남아 있는 석조 유물들은 고려 시대의 석조 예술과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됨.

 

지광국사현묘탑과 법천사지는 고려 불교의 역사와 예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현묘탑은 고려 시대 승탑 중에서도 정교하고 아름다운 형태로 평가받으며, 법천사지는 고려 선종 불교의 중심지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현재는 폐사지 상태이지만, 국보급 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다.

 

법천사지는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 위치해 있다.

 

 

원주, 부론면 법천사지 풍경

 

원주, 부론면 법천사지 풍경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법천사지, 당간지주

saylee.tistory.com

 

겨울에 만난 부론면 법천사지

 

겨울에 만난 부론면 법천사지

법천사지는 원주 3대 폐사지 중 하나로 부론면 법천리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절이 있던 터이며 지광국사탑비가 있다. 이는 국보 제59호로 지정돼 있다.사적 제466호. 정확한 창건 연대는

saylee.tistory.com

 

원주시 법천사지 국보 지광국사현묘탑 근접 사진 갤러리 보기

 

원주시 법천사지 국보 지광국사현묘탑 근접 사진 갤러리 보기

지광국사현묘탑의 특징1. 고려 시대 팔각원당형 승탑지광국사현묘탑은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승탑으로, 고려 시대 승탑 양식을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재다.팔각형은 불교에서 우주의 조화를

saylee.tistory.com

 

 

반응형